흡음공사 전후 잔향시간
측정 평가
-흡음공사 시 공사 전후의 잔향시간 측정평가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잔향시간은 실내 음향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 음악연주에는 풍부한 음의 표현을 위한 적정 잔향시간이 필요하고, 강연과
회화의 경우에는 잔향시간이 잛을수록 명료도가 좋아 진다. 잔향시간의 주파수 특성은 500Hz의 잔향시간 뿐 아니라 주파수 전역에 걸처서
평탄하는가도 중요하다. 잔향시간이란 실내의 음원으로부터 소리가 끝난 후 실내의 음 Energy밀도가 그의 백만분의 일이 될 때까지의 시간
즉 실내의 평균음 Energy 밀도가 초기치 보다 60dB 감쇠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말한다. 이것은 실의 용적과 벽면의 흡음도에 따라
결정되며 실형태와는 관계가 없다. 또한 주파수에 따라 그 값이 변화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500 Hz를 기준으로 한다. 실의 사용목적 및
용적에 맞는 적당한 크기의 잔향시간을 최적잔향시간 또는 설계목표 잔향시간이라고 하며 용도에 따른 최적잔향시간과 실용적과의
관계는Knudsen-Harris 등에 의하여 제정되고 있다. |
- 잔향 시간의 정의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Knudsen-Harris가 제안한
500Hz에서의 최적잔향시간을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강연실, 영화관, 학교강당의 Hall에 대한 최적잔향시간은 먼저 용적과 사용목적에
따라 500Hz에 있어서의 최적잔향시간을 비교한다. |

용도에 따른 최적잔향시간 과 실용적과의 관계
잔향 시간 측정
평가
(예
: 초등학교 다목적 강당 흡음공사 전/후 잔향시간 측정)
- 측정 장비
구 분 |
장 비
명 |
비
고 |
분 석 계 |
1/3 OCTAV BAMD REAL-TIME ANALYZER
(SA-27) |
RION/JAPAN |
신호발생기 |
BAND NOISE UNIT
(SC-54) |
RION/JAPAN |
프 로 그 램 |
REVERBERATION TIME MEASUREMENT AND
APPLICATION PROGRAM (SA-27-20A) |
RION/JAPAN |
마이크로폰 |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UC-53) |
RION/JAPAN |
증 폭 기 |
PREAPLIFIER
(NH-17) |
RION/JAPAN |
소 음 계 |
SOUND LEVEL METER OCTAVE BAND
ANALYZER (NA - 29E) |
RION/JAPAN |
소 음 계 |
SOUND LEVEL METER SPCTRUN ANALYZER
(SC-160) |
CESVA / SPAIN |
기 타 |
SPESKER,
AMPLIFIER |
RION/JAPAN |
- 측정 개요


다목적 강당 흡음공사 전

|

|
공사전 250 Hz
잔향시간 |
공사전 500 Hz
잔향시간 |

|

|
공사전 1,000 Hz
잔향시간 |
공사전 2,000 Hz
잔향시간 | |

다목적 강당 흡음공사 후

|

|
공사후 250 Hz
잔향시간 |
공사후 500 Hz
잔향시간 |

|

|
공사후 1,000 Hz
잔향시간 |
공사후 2,000 Hz
잔향시간 | |

흡음공사 전/후 잔향 시간 비교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