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일기술산업선일기술산업

Sitemap

문의 상담

질문 Re: 아파트 진동 소음 도와주세요. 기계실과 옥상 어딘가 정말 모르겠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박유찬
댓글 2건 조회 103회 작성일 25-10-04

본문

우선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24시간 내내 발생하는 이 소음으로 인하여, 심각한 두통으로 병원을 다니고 있습니다.

집에는 최후의 방법인 백색소음기를 켜놓고 잠을 청하다 보니, 

이명증세까지 온 것 인지, 집에서만 들어서면 구토와 심각한 두통을 동반합니다.

정말 하루하루 버티는게 기적과도 같습니다.


우선 말씀해주신 전체적인 사진을 올려보고 싶지만, 하나의 게시글당 2장씩 올라가는것 같습니다.

타 사이트에 대량의 사진 링크 혹은 조속히 개인적인 링크를 만들어 올려보겠습니다.


우선 주거중인 APT는 지방 작은동네의 신축아파트이며 제가 첫입주했습니다.

2023년. 11월 준공이후 2024년 겨울부터 입주를 한것으로 알고 있으며,

저는 작년 6월쯤 이사를 왔습니다.

이렇게 24시간 내내 소음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 소음을 정확히 인지한것은 3~4개월전이며, 추정컨데 그 이전 6개월전쯤으로 추정합니다.

옆집에서도 이 소리를 들어보면 좋겠지만, 애석하게도 5월부터 이사가 현재까지 빈집인 상황이라 확인 할 방법이 없습니다.

추가로 제가 1-2라인 이며, 

3-4라인은 집 구조가 다르며, 한층이 더 낮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잡음이 있었던것으로 압니다. 

현재는 이사를 간 것으로 추정됩니다.


몇일전 특이점을 발견 한 것은, 이 소음이 해당 아파트 복도에서도 들리는 것 입니다.

아파트는 2BAY 씩 올라가는 구조이며, 엘레베이터와 옆에 조그만 여닫는 창문이 있습니다.

그 근처에서 소리의 데시벨은 현저히 적지만 명확하게 같은소리가 발생합니다.

집으로 오면, 증폭되어 훨씬 큰 소리가 납니다.


이 소음은 2층 아래세대인 복도에서도 정확하게 들립니다. 

아래로 갈수록 소리의 데시벨은 적어지고, 3층 아래로 가니 이 소음은 사라졌습니다.

아래에서 소리가 올라오는 것 이라면, 내려갈수록 소리가 켜져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아이러니 합니다.


이와같은 추론에 옥상과 기계실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합니다.2계단 위인 기계실은 가장 많이 의심했습니다. 

역시 엘레베이터 미가동시에도 소리가 발생은 합니다.

다만, 기계실로 다가가는 계단을 오르는 순간 이 소음이 아닌, 다른 소리가 발생을 합니다.


1- 엘레베이터 기계실.


관리실의 도움을 받아 ,엘레베이터 기계실을 확인을 했었습니다.

미 가동시에도 엘레베이터 컨트롤 타워라고 해야할까요? 그곳에서 소리가 발생을 합니다.

무슨 열이 많이 발생한다고 열어 놨더군요. 그 패널을 닫아도 소리는 별반 차이는 없었습니다.


단, 방과 거실 모두에서 들리던 소리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최근 패턴이 비슷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문제는 이를 정확히 확인하려고 해도, 엘레베이터 관계자의 태도 입니다. 미 가동시에 소리가 발생하는 것이 어떻게 집으로 들리냐? 입니다.


엘레베이터 전원 OFF와 관련해 출장비를 드려서라도 요청하고 싶지만, 완강한 태도이십니다.

 

저 역시, 인터넷의 수많은 검색을 통해 알아 본 결과, 엘레베이터 가동시에 소음이 주를 이루었지,

미 가동시에는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그러나, 관리자님의 댓글을 참조해 몇일전 방 마다 휴대폰 소음 측정어플을 통해 측정한 첨부파일이 입니다.

거의 동일하다 싶이 이런 파장을 보이며, 심할때는 더욱더 짚게 표시가 됩니다.

이쪽에는 워낙 문외한이라, 해당 Hz.dB 구글에 검색을 해보니 전기장치로 추정이 된다고 합니다.


내부 전원을 모두 ON OFF 해보고, 측정 해봐도 동일 합니다.

아랫층의 전기 장치를 의심도 해보았지만, 이건 모든방이 거의 동일하다 싶이하며,


현재 제가 취침을 하고 있는 방은 드레스룸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복도에서 2층아래로 들리며, 전기장치로 추정되는 것이라면


기계실도 유력 하지 않을까요? 

특히 기계실은 1호라인인 저희쪽으로 되어있으며, 단순 2계단 위 입니다.


엘레베이터(T.) 지점 관리자분이 호의적으로 나오시면 좋을텐데 정말 안도와줍니다...


개인적으로 엘레베이터 기계실이 아니라면, 


2- 옥상 어딘가에서의 정체불명 소음 


개인적으로 옥상에서 타고 내려오는 소리, 혹은 각 천장위에서 무언가 새거나 소음이 들어오는듯 싶습니다.

이를 증명 하는 것이, 

올해 3~4월쯤 . 전원차단기(두꺼비집)에서 퉁퉁퉁퉁퉁 소리가 계속 발생했습니다. 바람이 불면 계속 소리가 났죠.

당시 이것을 해결 한다고, 아파트 CS팀에서 누전차단기 뒤에 이어진 실외기실에 다양한 구멍들을 실리콘으로 막았던 적이 있습니다.

인터넷. 통신이 연결 된 그쪽도 막아보고 해도해도 안되니, 누전차단기쪽에 한개씩 구멍을 막다보니 소리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여러개의 전원 차단이 있지만, 그중 바람이 샜던 것은 집안 내 "환기 덕트부"로 기억합니다. 


이 쪽에는 문외한이지만, 뭔가 실마리가 될 듯 싶어, 적어봅니다.

다만 아이러니 한것은, 이번 이 소음은 집 전체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균일하게 다 들린다는 것입니다.


번외로 아랫층 혹은 어떤 타층에서 인위적인 보복성 소리로도 생각을 해보았지만,

현실적으로 한 구역이 아닌, 전 구역을 컨트롤 한다는것은 비현실적으로 여겨집니다.


휴일에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적처럼 해결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목록

sunileng님의 댓글

sunileng 작성일

소음 측정자료를 보면 60Hz 에서 탁월 소음도가 나타납니다.
먼저 소음이 발생하는 지점을 알아 내어야 됩니다.
1. 소음이 건물 내부 요인인지 or 외부 요인 인지를 파악하여야 됩니다.
 - 현재 주거 하시는 층이 22층 탑층 인지를 고려 하셔야 됩니다.
  ("지하실 기계실"과는 멀고, "공용 엘리베이터" , "옥탑 수조" , "환기구" 등에는 매워 가깝게 위치합니다)
2. 내부 요인 확인 방법은
 -  건물 전체 전기 인입을 차단해서 소음이 안 들리는 경우
  (전기 기기 노후, 또는 누전 등으로 발생 하는 원인)
    누전 , 합선으로 발생하는 소음의 유형 : https://www.youtube.com/shorts/3jXr_LTA9jk
    세대별로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유형 : https://www.youtube.com/shorts/_JoRyfwShfk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유형 : https://www.youtube.com/shorts/UJV1RAQcbdQ
 -  아래층 전원을 차단해서  소음이 안 들리는 경우
    24시간 소음을 발생하여 윗층으로 전달 되는 기기의 유형 : "소형 다운 변압기 220V→100" , "어항 기포기" , 노후된 냉장기기" 등이 있읍니다.
3. 22층 탑층은 외부 소음 영향도 있을 수 있읍니다.
 - 옥상층 "철구조물"에서 발생하는 "풍절음" , APT 공용 시설인 "배풍 설비 노후 소음"
  (탑층은 외부 소음 발생 지점과 소음의  전달 경로가 짧아 소음 전달이 용이 합니다)
  옥상 풍절음 소음의 유형 :  https://www.youtube.com/watch?v=iX7veNSdu00
  환기구(밴출레이터)  소음의 유형 :  https://www.youtube.com/watch?v=TfDBRT5xjV4
  환기구 (주방 후드, 화장실 배기구, 집 환기 시스템) 닥트를 막아 소음 전달을 차단 하는 시스템 : https://www.youtube.com/watch?v=SYNs7r-w2mA

["2023년. 11월 준공이후 2024년 겨울부터 입주를 한것으로 알고 있으며,저는 작년 6월쯤 이사를 왔습니다.

이렇게 24시간 내내 소음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 소음을 정확히 인지한것은 3~4개월전이며, 추정컨데 그 이전 6개월전쯤으로 추정합니다.]

신축 APT에서는 모든 시설이 새것이라 통상 이러한 소음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읍니다. 먼저 소음원을 찾아야 대책을 세울수 있읍니다.

sunileng님의 댓글

sunileng 작성일

[댓글 주신것을 보아하니,
3. 환기비트 와 세대내 환기구는 통상 후렉시블로 연결 되어 외부로 배풍하게 되어있습니다. 소리는 공기를 매질로 전달되어 사람의 귀로 들리게 됩니다. 외기->환기비트->후렉시블 -> 세대내 로 소음이 전달 됩니다.
- 이러한 소음의 전달은 공기전달의 경로를 차단하면 소음전달이 줄어 듭니다.->환기구에 댐퍼 설치여부.
- 환기비트와 세대간의 벽체에 틈, 구명 등이 있을 경우 소음전달의 경로가 됩니다.(화장실 천정 윗면, 주방 상부 벽체. 확인 필요)
이게 어떤 말씀이신지 궁금합니다.]

 1. 흡음챔버는 산업용이 아닌 가정용은 합판으로 외통을 만들고 내부에 흡음재를 붙여 만들고 주방 선반이나 , 화장실 천정 내부에 설치합니다. : https://sunileng.co.kr/sit/etc/data/c.png

 2. 흡음 후렉시블은 다층 구조로 만들어져 내부층에 타공이 되어 있고 외부 흡음 층은 유리섬유로 되어있는 제품이 방음에 요율적입니다. : https://sunileng.co.kr/sit/etc/data/h.png